반응형
신규 서버에 Jenkins를 설치할 일이 있어서 설치하는 김에 포스팅도 하려고 합니다.
우선 서버는 Red Hat 4.8.5-16의 OS가 설치된 서버입니다.
1. git 설치
$ sudo yum install git
2. Jenkins 설치
wget으로 우선 jenkins.repo를 내려받습니다.
$ sudo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
그리고 yum으로 설치하기 위해 key를 등록 후 설치를 진행합니다.
$ sudo rpm --import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io.key
$ sudo yum install jenkins
설치 후 기본 포트가 8080으로 되어있는데, 보통 사용 중인 포트일 것임으로 설정파일에서 포트를 변경합니다.
$ sudo vi /etc/sysconfig/jenkins
그 외에도 서비스명이나 HTTPS 포트 등 설정이 가능합니다.
그 후 젠킨스를 실행합니다.
$ sudo service jenkins start
service로 실행되지 않으면, 아래 경로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 sudo /etc/init.d/jenkins start
실행 후 화면은 따로 캡쳐하지 못하여, 글로 작성하겠습니다.
우선, 처음 실행되면 초기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안내에 있는 것과 같이 아래 경로에서 초기 비밀번호를 찾아 입력하여 넘어가시면 됩니다.
$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이후 플러그인 설치가 필요한데 제안된 플러그인을 모두 설치했습니다.
따로 플러그인을 골라서 설치하셔도 나중에 설치하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플러그인 설치 후 계정 생성화면이 뜨면 계정 생성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다른 사용자 계정 추가는 [Jenkins 관리] > [Security] > Manage Users에서 생성하실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jenkinsci/jenkins
https://wikidocs.net/16280
반응형
'- oth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chitecture]헥사고날 아키텍처(port and adapter) (0) | 2023.02.17 |
---|---|
[Jenkins] Git, Bitbucket 연동 (0) | 2021.05.08 |
Cloud Native Application 고려사항 (0) | 2021.05.06 |
Gradle Multi Module 프로젝트 생성 (0) | 2021.05.01 |
[탐색알고리즘] DFS (0) | 2020.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