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pring

[Spring Hateoas 1.2] 소개 및 프로젝트 설정

반응형

1-1. HATEOAS 란?

  • HATEOAS는 Hypermedia As The Engine Of Application State의 약자 

  • 하이퍼미디어를 REST API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활용하는 것

  •  REST API에서 클라이언트에 리소스를 넘겨줄 때 특정 부가적인 리소스의 링크 정보를 넘겨주게 되며 이를 통해 REST API의 리소스 상태에 따른 관리

1-2. 사용하는 이유?

HATEOAS를 쓰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기존 REST API의 단점을 보완

  • REST API는 앤드포인트 URL이 정해지고 나면 이를 변경하기 어렵다는 단점 존재, 만일 API의 URL을 변경하게 되면 모든 클라이언트의 URL까지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워지므로 기존 다른 API를 지속적으로 추가하게 되어 URL 관리에 어려움

1-3. 설정 방법

1-3-1. 프로젝트 적용 기술

  • spring boot 2.3.xx

  • java 11

  • gradle 5.xx

  • spring hateoas 1.2.x

  • junit5

1-3-2. build.gradle 파일 설정

 

 

1-3-3. 링크 테스트

 

링크의 hypertext reference나 Relation을 통해 url을 추출하여 hateoas 표현모델을 통해 리소스에 이동 가능한 링크를 전달 가능.

IanaLinkRelations를 사용하여 SELF, NEXT 등 Relation을 지정 가능.

 

 

1-3-3. 테스트 결과

반응형